ABOUT
박철희 |@xrentonx
*
나의 작업은 피상적이고 추상적인 단계에서 시작해 조금이라도 더 접근하려고 애쓴 작가노트 결과물이다. 나의 과거 작업들과 습작들을 보면 가족을 소재로 한 작업들이 많이 있었다. 작업 구상단계에서 가족이라는 의미를 염두에 두고 시작한 것은 아니었지만, 나의 이야기 혹은 나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가 속해있는 가장 1차적인 집합을 그 시작으로 삼았던 것 같다. 가족이 소재가 된 작업들은 지극히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라 스스로 함몰되는 느낌을 종종 받기도 했다. 나는 점차 범위를 넓혀 역사라고 부를 수 있는 혹은 기록이라 부를 수 있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한국의 근대사, 현대사에서 일어 난 일들, 기록되어있는 역사와 그 속에서 삶을 살아온 사람들에 주목했다. 쓰여진 역사에 속해있는 개인 각각의 삶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기록된 역사는 어떠한 차이가 있고 거리가 얼마이며 그 경계는 어떤 모습인지 탐구하고자 했다. 역사적으로 특정한 사건이 일어난 장소. 예를들면, 학살이나 전쟁으로 희생된 사람들이 묻혀있던 장소에서 나는 사진을 찍기도 했고, 아무런 행위 없이 머물렀다. 이 곳에서 일어난 일은 어쩌면 다행히도 생존자가 있었고, 목격자가 후세에 그 이야기를 전하면서 기록되었을 것이다. 주관적인 목격담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언제 이 사건이 일어났으며 무슨 일이 누구에게서 발생했고, 누가했고, 몇 명의 사람들이 희생되었다라는 가정치와 실제 발견된 희 생자의 사체수로 남아있다. 나는 숫자가 말하는 객관적인 자료, 기록된 시간이 말하는 것과 그들이 겪은 기억과의 사이에 있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 개인의 역사와 기록된 역사와의 거리를 말하 고자 한다. 제주도에서 일어난 4.3 사건이 남겨 놓은 기억과 내가 밟고 있는 땅 위에서 느껴진 감정과 생각 을 가족과 여행하며 사진찍기도 했었고, 베를린 전쟁역사박물관 활주로에 놓여있는 냉전시대의 전투기들의 낡고 녹슨 표면을 시각화했고, 유년시절에 모았던 우표들 중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80년대 전두환 대통령의 우표들, 책상 위에 놓인 구겨진 종이들과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사진들은 나의 작업 의 큰 모티브가 되었다. 나는 내 머릿속에 부유하는 이미지들과 이미지들 사이의 거리, 그 거리의 경계의 두께를 시각화하고 이미지화 하려한다.
*